공매도
재테크

공매도 뜻: 이해와 원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

단기 매매, 즉 숏 공매도 주식 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해당 상품을 빌려 매도한 뒤, 실제로 가격이 떨어지면 저렴한 가격에 다시 사서 상품을 상환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상품의 가치나 주가, 주식 시장의 상승이 아닌 하락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입장 가격보다 상승하면 손실을, 하락하면 이익을 얻게 됩니다. 영화 ‘더 빅 숏’이나 국가부도의 날에서 주인공들이 하는 숏 셀링은 경제 과열이나 버블, 위기를 미리 예측하고 이를 통해 부를 쌓는 과정을 다룹니다. 파생상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하락이나 변동성에 따라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많은 주식들이 존재한다는 현대 금융 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공매도의 원리

공매도는 말 그대로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싼 가격에 사들여서 갚는 투자 기법입니다. 투자자는 주식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할 때 공매도를 합니다.

공매도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투자자는 증권사에서 주식을 빌립니다.
  2. 투자자는 주식을 시장에서 팔아서 현금을 받습니다.
  3.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투자자는 싼 가격에 주식을 사들여서 갚습니다.
  4. 투자자는 주식 가격 하락분만큼의 차익을 얻습니다.

예를 들어, A 주식의 현재 가격이 100,000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투자자는 A 주식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증권사에서 A 주식 100주를 빌립니다. 그리고 A 주식을 시장에서 100,000원에 팔아서 10,000,000원을 받습니다. 이후 A 주식 가격이 50,000원으로 하락하면, 투자자는 50,000원에 A 주식 100주를 사들여서 갚습니다. 이때 투자자는 5,000,000원의 차익을 얻게 됩니다.

공매도의 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에 따른 위험도 존재합니다. 공매도에 따른 위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공매도는 시장의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주식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여 공매도를 하면, 이는 시장의 수요를 감소시켜 가격 하락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공매도는 시장의 정보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공매도를 통해 투자자는 주식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시장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공매도는 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가 주식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여 공매도를 대규모로 실시하면, 이는 시장의 심리를 위축시켜 가격 하락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매도는 단기적인 차익을 추구하는 투기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시장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공매도는 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가 대규모로 이루어지면, 이는 시장의 심리를 위축시켜 가격 하락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매도는 단기적인 차익을 추구하는 투기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시장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공매도는 정부의 규제 대상입니다.

공매도는 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한 투자 기법이기 때문에, 정부는 공매도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공매도 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제로콜 가드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매도는 위험한 투자 기법이지만, 그에 따른 위험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한다면, 투자자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공매도의 실제 사례

공매도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실제 사례입니다.

  • 기업의 부실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

투자자는 기업의 재무 상태나 경영 상황을 분석하여 기업이 부실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공매도를 통해 기업의 주가를 하락시켜 경영진의 책임을 묻거나, 기업을 인수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식 시장의 거품 조정을 위한 도구

주식 시장이 거품에 빠져 있을 때, 투자자는 공매도를 통해 시장의 거품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를 통해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이는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시장의 거품을 깨는 역할을 합니다.

  • 정치적 목적을 위한 도구

정부는 공매도를 통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는 공매도를 통해 자국 기업의 주가를 부양하거나, 외국 기업의 주가를 하락시킬 수 있습니다.

영화 빅쇼트가 조명하는 과거 미국 서브모기지(Sub-Mortgage Crisis) 사태를 예측하고 공매도 혹은 CDS (Credit Default Swap, 신용부도스왑) 포지션을 진입한 트레이더들이 주인공 말고도 분명 많이 있었을 겁니다.

그때도 아마 숏 포지션 진입한 여럿 트레이더 및 펀드사들이 버티지 못하고 손절을 했거나 강제청산을 당했을 겁니다. 그 중에 타이밍을 잘 잡고 좋은 트레이딩 및 운용 전략을 새운 트레이더들에게 스포트 라이트가 비춰지는 거죠.

그런데 정말 시대가 변할수록 무서운 게 모두가 이 상황이 버블이라는걸 인지하면서도 버블이 지금 터질지, 아니면 몇배 더 커진 다음에 터질지 우리 개미들은 알 도리가 만무합니다.

경제 버블은 자본주의 특성 상 회피할 수 없는 사이클 현상입니다. 과거 버블 모델들, 케이스 스터디, 관련 연구들을 보면 알겠지만 붕괴되는 버블이 크면 클수록 그로 인한 개미들의 희생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뜨겁게 과열된 이 거품이 언젠가 터지긴할텐데 도대체 그게 언제일지.. 추세가 머리나 어깨인 줄 알았는데 나중에 보니깐 그때가 무릎이었고.. 이렇게 요즘 버블들은 그나마 예전보다는 똑똑해진 개인 시장참여자들에게 FUD(Fear, Uncertainty, and Doubt)와 FOMO(Fear of missing out)같은 투기심을 훨씬 잘 불러 일으킵니다.

요즘 진짜 운전수(세력/기관)들 개미 뇌동나사 ‘툭’ 치면 바로 풀리게 차트 잘 그립니다. 정말 운전수가 아니라 차트 배경에 캔들이라는 물감으로 현대 미술을 창작하는 아티스트라고 할까봐요.

전 개인적으로 글로벌 거품이 터질 때도 무섭긴 하겠지만 그것보다 거품이 훨~씬 더 커진 다음에 터진다면 불러일으킬 막대한 피해가 더 무섭습니다.

공매도

차트 속에 V자 반등

차트와 트레이딩 세계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적절한 조정 없는 원웨이 파동은 안전하지 않다.”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도 어느정도 되돌림을 지속적으로 주고 오르는 가격 흐름이 더 이상적이고 변동성이 더한 조정을 주장합니다. 하지만 최근의 차트들은 이러한 ‘적당함과 적절함’이 없어졌습니다. 너무 극단적이고 투기적이면서도 동시에 제 차트에 당해있을 개인투자자들 생각하면 안쓰럽습니다. 수많은 스탑헌팅과 V자 반등, 난무하는 스캠무빙에 질릴 만한 긴 캔들 꼬리들… 특히 코로나 이후로 시간이 갈수록 더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세력들(기관과 외국인들)에게만 차입공매도가 허락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은 불리한 위치에 있고 저도 이부분을 아니꼽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게 공매도를 영원히 금지시킬 이유는 절대 될 수 없습니다. 그 부평등을 해소할 만한 기술적/정치적/경제적 장치 혹은 정책 등을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리스크를 줄여주는 생각을 해야지 무작정 공매도 시장을 영구 폐지하는 건 장기적인 관점에서 오히려 개인투자자들에게 불리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영어로는 공매수 공매도가 Long과 Short인데 우리나라는 용어부터 빌고공자를 써서 뭔가 부정적이고 공포하고 음지일거 같은.. 없는 주식을 속여서 파는 뉘양스를 풍기게끔 이름을 지어서 그런지 공매수 공매도는 예전 역사부터 존재했던 일반 거래의 한 형태입니다. 해외에서는 개인 트레이더들이 롱과 쇼트를 치는 문화가 정말 당연하고 평상적입니다. 부정적인 이미지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만 뭔가 공매도를 나쁜 취급하고 편견을 가지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많은 연구 사례들이 금융산업에 공매도라는 시스템이 인플레이션 속도를 안정화시켜줄뿐더러 더 큰 악효과를 부를일으킬 수 있는 버블들을 막아주는 장치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바 있습니다. 해외 연구 논문에 따르면, 실제로 공매도 투자자들로 산업 정보들이 더 능동적으로 조사가 되기 때문에 기업감시능력이 활발하게 작동하는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시장이 기업 가치에 대해 더욱 합리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끔 해줌으로써 금융산업의 정보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공매도가 박스피

많은 사람들이 공매도가 박스피(박스권 코스피)의 주범이라고 얘기합니다. 물론 공매도가 일시적으로는 급상승하는 종목들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이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공매도가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명확한 ‘물증’은 아직 입증된 바 없습니다. 공매도 안 코스피가 3천을 못 넘었는데 공매도 금지 정책 때문에 3천을 찍었다라는 근거없는 주장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일반 매도도 금지하면 코스피가 5천, 6천 가나요? 절대 말도 안되는 말입니다.



Hi, I’m 차트겟-ChartGe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